본문 바로가기

생활 관상 보는 방법

(생활 관상) 눈 관상 알아보기

반응형

 

1.  눈의 관상학적 의미

 

눈은 신체구조에서 눈 앞의 대상을 확인하고 세상에 흩어진 정보를 수집하거나 확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상학에서는 두 눈을 빛을 내뿜는 태양과 달로 인식한다. 눈을 앞으로 자신이 나아갈 길을 비추는 에너지를 상징하다.

 

그래서 눈빛은 밝게 빛날수록 긍정적인 기운을 발산하고 길운으로 유도한다. 눈빛이 약하고 어두울수록 세상과 단절하고 주변과 교류 욕구가 적음을 뜻하다. 눈빛이 죽었다는 것은 해가 저물고 그믐달의 형상이라 암울함 그 자체이다. 따라서 평소에 눈을 과도하게 혹사시키지 않고 초롱초롱하게 관리하는 것은 자신의 앞날에 꽃길을 여는 셈이다.

눈은 통상 적정한 크기가 바람직한데, 평균 이상으로 크다면 이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흡수하거나 타인의 요청이나 부탁 등을 받음에 있어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거나 수용한 정보 등을 완벽하게 소화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눈이 크면 적정한 수준의 혜안을 갖지 못하고 소화불량의 눈이 된다.

 

이에 비해 작은 눈은 단편적인 분야를 추구하는 외골수 속성을 상징하고, 만일 전문 분야를 추구하지 않고 일반 분야를 추구할 때는 정보 유입량 부족으로 인해 매사 자아 성취에 장애가 있음을 의미하니 유념할 필요가 있다.

 

2. 관상학 논리의 응용

 

관상학적 논리로 생각해 보기
상대적으로 눈과 눈 사이가 멀다면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해와 달인 일월이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지 못하고 다소 떨어져 있다면 그 빛의 총량이나 강도가 낮아지므로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 정보흡수력이 낮거나 판단력이 약할 수 있음을 뜻한다. , 지력이나 이성적 판단력이 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관상학적 논리로 생각해 보기
상대적으로 눈과 눈 사이가 가깝다면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일월이 가깝게 있다면 그들이 합동하여 쏘아대는 빛이 상대적으로 강렬하다는 의미이므로 정보흡수력이 막강함을 암시하여 정보처리능력이 강하여 일반인에 비해 성취하는 일의 양이 많다고 해석된다.

 

관상학적 논리로 생각해 보기
눈꼬리가 위로 쳐진 경우는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일월의 방향이 지상을 집중적으로 바라보는 형태다. 일반인에 비해 평균이상 현실적이고 세속 지향성이 강함을 의미하여 이해타산에 집요하게 강함을 상징한다고 해석한다.

 

관상학적 논리로 생각해 보기
눈꼬리가 아래로 쳐진 경우는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일월의 방향이 천상을 집중적으로 바라보는 형태다. 일반인에 비해 평균 이상 형이상학적이고 셈에 느리고 이해타산에 신속하지 못하다고 해석한다. 대체로 나이가 들면서 눈꺼풀이 아래로 몰리면서 눈꼬리가 쳐진다. 치열한 사회생활에서 물러나 연금생활을 하게 되는 시기에 접어들면서 만들어지는 세월이 주는 눈의 관상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