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명리칼럼(이슈 & 사건)

사주명리학에서 보는 암 예방과 암치료 대책

반응형

 

현대로 올수록 암환자가 늘고 있다. 필자도 과거부터 지인들을 통해 주변에 암환자가 여기 저기 있다는 소식을 전해 듣는다.  

암은 기형적 세포질환의 일종이다.  

사주명리학에서는 암을 어떻게 보는가?   얼어붙는 응결적 속성의 질환이 일반적인 암이다.

그리고 그 반대로 열성으로 타버린 후 굳는 탄화적 속성의 질환의 암도 있다. 한마디로 암이란 세포가 얼어붙거나 타버리는 것 중 하나이다.   응결적 속성이란 뭉쳐서 덩어리 짓는 작용이다.

사리, 결석이란 말이 있듯이 사주구조 및 운세적 영향에 따라 냉한 기운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면 몸속에서 덩어리로 응결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물론 암의 병증에 이르지 않는 무해의 종양일 수 있으나, 불운하게도 특정 장기나 일정 부위에 지속적 소진으로 이어지는 운의 흐름일 때는 악성 종양인 암으로 발전될 수 있다.

암치료는 운좋게 극복가능한 흐름에 접속할 수만 있다면 희망은 있다고 본다. 항암치료 열심히 받아도 유명을 달리하는 경우 많지만, 운좋게 치료되어 털고 일어서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현대의학적 치료로 차도가 없다는 것이 판단된다면 생사 여부는 하늘에 맡기고 명리학적 해법을 써 볼 필요도 있다고 본다. 명리학적 해법이라고 해서 귀신을 부르는 것은 아니고, 자연의 유리한 기운의 흡수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써본다는 것이다.   

건강할 때에는 병원에서 열심히 건강검진도 해야 되지만, 병원에서 잡아낼 수 없는 인체내부의 체질적 구조와 골격에 대해서는 한번쯤 사주명리적 분석을 통해 알아 보는 것도 투자 대비 가성비가 효율적이리라 판단된다.  

탄화적 속성의 질환은 바로 흔히 말하는 경화성 질환이다. 간경화가 대표적으로 열성 체질에서 발견된다. 불에 그을린 것처럼 또는 타고남은 장작처럼 까만 흔적이 남는다.  

타서 나서 굳어 버리는 작용이다. 응결이 냉동이라면 탄화는 그 반대인 화염 작용의 결과다.   사주구조에 따라 개별화되지만, 응결성 암이 여성에게 많다면 경화적 질환의 암은 남성에게 많다.  

체질의 안정과 조화를 강화시키고 면역력 증진시키기 위해 운동과 식이요법이 필수적이다.   운동이 힘들면 먹는 것부터 주의할 필요가 있다.   요즘따라 드는 생각은 기술의 발전이 인간에게 오히려 해로움이 되는 경우가 있다. 

가전제품 보유의 일반화로 여성들의 활동성을 저조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우리의 주식인 쌀이 문제다. 도정기술이 발전하면 할수록 쌀의 정수는 도려내고 감미롭고 유연한 백미가 보편화되었다.  

요새 어린 아이들부터 하얗고 곱디고운 백미 이외의 것은 외계물 취급을 한다. 현미와 잡곡의 중요성을 간과했다면 이제는 즉시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의 조상들은 20세기 도정기술이 유입되기 전까지는 현미에 익숙하여 풍성한 토양과 태양의 에너지를 흡수할 줄 알았다. 

물론 기근과 수탈에 곡식이 남아나지 않은 경우가 다반사였지만.   맛과 영양 중 무엇을 택할 것인가? 더더욱 평생 죽을 때까지 매일 마주해야 하는 주식인 쌀에 대해서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기다.  

면역에 무관심하고 장수에 연연치 않겠다면 어쩔 수 없으나, 튼튼한 심신으로 질병 없이, 특히 현대의 중증질환인 각종 암의 폐해의 시달림 없이 인생의 행복을 만끽하려면 식이요법에서부터 건강챙기기를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반응형